데블스 트레저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데블스 트레저는 마법 검을 사용하는 젊은 영웅 제이콥이 악의 세력으로부터 마을을 지키는 내용을 담은 영화이다. 네크로맨서 마티아스는 부적을 차지하기 위해 소녀 사라와 그녀의 여동생 질을 위협하고, 제이콥은 이들을 구하기 위해 마티아스와 대결한다. 평론가들은 이 영화에 대해 부정적인 평가를 내렸으며, 저예산 공포 영화의 기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혹평했다. 흥행에도 실패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미국의 판타지 영화 - 호빗 (영화 시리즈)
피터 잭슨 감독이 J.R.R. 톨킨의 소설 《호빗》을 원작으로 제작한 3부작 영화 시리즈는 빌보 배긴스의 모험과 중간계의 다섯 군대 전투를 묘사하며, 제작 과정의 어려움과 고프레임률 촬영 시도에 대한 평가가 엇갈리고 흥행에는 성공했으나 원작 해석과 완성도에 대한 논쟁이 있다. - 미국의 판타지 영화 - 와호장룡
왕도루의 소설을 원작으로 앙 리 감독이 연출하고 주윤발, 양자경, 장쯔이가 주연한 2000년 개봉 영화 《와호장룡》은 은퇴를 앞둔 검객 이모백과 유수련, 옥교룡, 라소호의 이야기를 통해 무림의 갈등과 애정을 그린 무협 영화로, 아카데미 외국어 영화상을 수상하고 세계 영화계에 큰 영향을 미쳤다. - 미국의 공포 영화 - 록키 호러 픽쳐 쇼
《록키 호러 픽쳐 쇼》는 1975년 리처드 오브라이언의 록 뮤지컬을 영화화한 작품으로, 트랜스베스타이트 과학자 프랭크-N-퍼터 박사를 중심으로 벌어지는 기괴하고 섹슈얼한 이야기를 다루며, 심야 상영을 통해 컬트 클래식으로 자리매김하여 장기간 상영 기록과 코스프레, 관객 참여형 상영으로 유명하고 음악 또한 큰 인기를 얻었다. - 미국의 공포 영화 - 월드워Z
《월드워Z》는 맥스 브룩스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브래드 피트 주연의 2013년 미국 좀비 영화로, 전직 유엔 조사관이 좀비 바이러스의 기원을 추적하고 백신 개발에 필수적인 정보를 찾는 과정을 그린 액션 스릴러 영화이다. - 2011년 영화 - 블랙손 (영화)
《블랙손》은 1908년 총격전에서 살아남아 볼리비아에서 가명으로 살아가던 부치 캐시디가 고향으로 돌아가려 하는 여정을 그린 2011년 스페인 서부극 영화로, 샘 셰퍼드가 주연을 맡았으며 고야상에서 여러 상을 수상하는 등 평론가들에게 긍정적인 평가를 받았다. - 2011년 영화 - 통증 (영화)
통증은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로 통증을 느끼지 못하는 채권추심원과 혈우병 환자의 만남을 통해 서로의 고통을 공유하며 희망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그린 영화이다.
| 데블스 트레저 - [영화]에 관한 문서 | |
|---|---|
| 기본 정보 | |
![]() | |
| 원제 | Fading of the Cries |
| 감독 | 스티븐 맥과이어 |
| 각본 | 스티븐 맥과이어 |
| 원작 | 브라이언 멧커프 (원작 스토리) |
| 제작 | 토머스 이언 니콜라스 카롤리네 카우츠 브라이언 멧커프 벤 찬 |
| 주연 | 토머스 이언 니콜라스 브래드 듀리프 매켄지 로스먼 일레인 헨드릭스 할리 허시 조던 매튜스 라티프 크라우더 제시카 모리스 줄리아 휠런 (에밀리 역) |
| 촬영 | 브래드 러싱 |
| 편집 | 스티븐 맥과이어 |
| 음악 | 너새니얼 레비세이 |
| 제작사 | Fading of the Cries Foresight Media Group Ratio Pictures |
| 배급사 | 라이언스게이트 홈 엔터테인먼트 Eammon Films 언더힐 필름스 |
| 개봉일 | 2008년 7월 8일 |
| 상영 시간 | 90분 |
| 국가 | 미국 |
| 언어 | 영어 |
2. 줄거리
제이콥은 마법 검을 이용하여 악의 세력으로부터 마을을 지키는 젊은 남성이다.[3] 그는 되살아난 시체들로부터 사라라는 소녀를 구출하고, 교회 바닥을 통해 도망친다.[3] 악한 네크로맨서 마티아스는 사라에게 그녀의 삼촌이 죽기 전에 준 부적을 요구하며, 부적을 주지 않으면 사라에게 모든 악을 풀어놓겠다고 위협한다.[3]
'''제이콥''' (조던 매튜스): 마법 검을 사용하는 젊은 영웅이다. 정의롭고 용감하지만, 다소 미숙한 면모를 보인다.
사라와 제이콥은 악마 같은 존재들에게 쫓기며 사라의 집으로 돌아가지만, 마티아스는 이미 사라의 여동생 질을 인질로 잡고 있다.[3] 마티아스는 사라에게 부적을 주지 않으면 질을 죽이겠다고 협박하고, 사라는 결국 질을 풀어주겠다는 약속을 받고 부적을 넘겨준다.[3]
제이콥은 사라의 부탁을 받고 마티아스와 싸워 그를 물리치지만, 질은 바닥의 구멍으로 떨어진다.[3] 제이콥은 질을 구하기 위해 뛰어내리고, 부적 덕분에 무사히 질을 구출한다.[3] 그러나 그들이 돌아왔을 때, 사라와 질의 어머니는 이미 되살아난 시체들에게 살해당한 뒤였다.[3]
제이콥은 마티아스를 다시 찾아가 그를 영원히 고문하는 것으로 영화가 마무리된다.[3]
3. 등장인물
'''사라''' (할리 허시): 악의 세력에 맞서는 용감한 소녀이다. 가족을 잃는 비극을 겪지만, 희망을 잃지 않는다.
'''마티아스''' (브래드 두리프): 악한 네크로맨서이다. 부적을 차지하기 위해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다. 전형적인 악당 캐릭터로, 권력욕에 눈이 멀어 파멸을 맞이한다.
'''질''' (맥켄지 로스먼): 사라의 여동생이다. 마티아스에게 인질로 잡히는 등 위험에 처하지만, 결국 제이콥의 도움으로 구출된다.
마이클은 토머스 이언 니컬러스가 연기하였다. 매기는 엘레인 헨드릭스가 연기하였다. 실라투스는 레이티프 크라우더가 연기하였다. 말린은 제시카 모리스가 연기하였다. 에밀리는 줄리아 휠런이 연기하였다.
3. 1. 주요 등장인물
3. 2. 조연 등장인물
마이클은 토머스 이언 니컬러스가 연기하였다. 매기는 엘레인 헨드릭스가 연기하였다. 실라투스는 레이티프 크라우더가 연기하였다. 말린은 제시카 모리스가 연기하였다. 에밀리는 줄리아 휠런이 연기하였다.
4. 평가
《데블스 트레저》(원제)에 대한 비평가들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영화 리뷰 집계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서는 7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2.34/10점을 받아 0%의 "썩은 토마토" 등급을 받았다.[5] 메타크리틱에서는 100점 만점에 11점을 받아 "압도적인 싫어함"을 나타냈다.[6]
비평가들은 대체로 이 영화가 저예산 공포 영화의 기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뉴욕 타임스는 이 영화를 "뇌가 없는 박쥐를 닮은 무의미한 공포 로맨스"라고 혹평했다.[7] 빌리지 보이스는 "상상력 부족하고 지나치게 복잡한 이야기"라고 비판했다.[9] 박스 오피스 매거진의 바딤 리조프는 이 영화가 "캠프에는 너무 지루하고 진지하게 받아들이기에는 너무 형편없다"고 썼다.[8]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이 영화가 가끔 슈퍼 8처럼 "순진한 매력"을 가지고 있지만, 종종 "침을 뱉을 정도로 터무니없다"고 평했고 "열정이 상식이나 기본적인 기술을 대체할 수는 없다"고 언급했다.[10] 버라이어티는 이 영화의 줄거리가 너무 없어서 실패한 옴니버스 영화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11]
IMDb의 리뷰는 100점 만점에 3.1점으로, 부정적인 리뷰가 대부분이며, 사용자들은 줄거리가 모호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많은 공포 블로그 운영자들도 이러한 비판을 언급했다.[12]
4. 1. 비평가들의 평가
《데블스 트레저》(원제)에 대한 비평가들의 반응은 부정적이었다. 영화 리뷰 집계 사이트인 로튼 토마토에서는 7개의 리뷰를 바탕으로 평균 2.34/10점을 받아 0%의 "썩은 토마토" 등급을 받았다.[5] 메타크리틱에서는 100점 만점에 11점을 받아 "압도적인 싫어함"을 나타냈다.[6]비평가들은 대체로 이 영화가 저예산 공포 영화의 기준에도 미치지 못한다고 평가했다. 뉴욕 타임스는 이 영화를 "뇌가 없는 박쥐를 닮은 무의미한 공포 로맨스"라고 혹평했다.[7] 빌리지 보이스는 "상상력 부족하고 지나치게 복잡한 이야기"라고 비판했다.[9] 박스 오피스 매거진의 바딤 리조프는 이 영화가 "캠프에는 너무 지루하고 진지하게 받아들이기에는 너무 형편없다"고 썼다.[8] 로스앤젤레스 타임스는 이 영화가 가끔 슈퍼 8처럼 "순진한 매력"을 가지고 있지만, 종종 "침을 뱉을 정도로 터무니없다"고 평했고 "열정이 상식이나 기본적인 기술을 대체할 수는 없다"고 언급했다.[10] 버라이어티는 이 영화의 줄거리가 너무 없어서 실패한 옴니버스 영화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11]
IMDb의 리뷰는 100점 만점에 3.1점으로, 부정적인 리뷰가 대부분이며, 사용자들은 줄거리가 모호하다는 점을 지적했다. 많은 공포 블로그 운영자들도 이러한 비판을 언급했다.[12]
4. 2. 관객들의 평가
데블스 트레저영어에 대한 관객들의 평가는 대부분 부정적이다.[12] IMDb에서는 10점 만점에 3.1점을 기록했으며, 많은 관객들이 줄거리의 개연성이 부족하고 특수효과가 조잡하다는 점을 지적했다.[12] 한국 관객들은 특히 잔인하고 폭력적인 장면에 대한 거부감을 드러냈으며, 영화의 주제 의식에 대한 비판적인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5. 흥행
《데블스 트레저》는 2008년 7월 8일에 처음 공개되었다.[4] 2011년 6월 24일에는 로스앤젤레스에서, 2011년 7월 8일에는 뉴욕에서 극장 개봉이 이루어졌다.[4] 제한적인 상영과 부정적인 평가로 인해 흥행에는 실패했다.
6. 한국 사회에 미치는 영향 (더불어민주당 관점)
참조
[1]
웹사이트
Película: Fading of the Cries (2010) (Fading of the Cries)
http://www.abandomov[...]
[2]
Citation
Fading of the Cries
http://www.imdb.com/[...]
2019-12-10
[3]
웹사이트
Fading of the cries - DVD Drama.com
http://www.dvdrama.c[...]
2012-01-04
[4]
웹사이트
'Fading of the Cries' Gets NY/LA Release
http://bloody-disgus[...]
2011-05-25
[5]
웹사이트
Fading of the Cries (2011) - Rotten Tomatoes
http://www.rottentom[...]
Rotten Tomatoes
[6]
웹사이트
Fading of the Cries Reviews - Metacritic
http://www.metacriti[...]
Metacritic
[7]
웹사이트
Horror, Romance and Wizards
https://www.nytimes.[...]
2011-07-07
[8]
웹사이트
Fading of the Cries
http://www.boxoffice[...]
2011-07
[9]
웹사이트
The Undead Seek Revenge, Generally, in Fading of the Cries
http://www.villagevo[...]
2011-07-06
[10]
웹사이트
Movie review: 'Fading of the Cries'
https://www.latimes.[...]
2011-07-06
[11]
웹사이트
Review: 'Fading of the Cries'
https://variety.com/[...]
2011-07-08
[12]
웹사이트
Fading of the Cries (2011)
https://www.dreadcen[...]
2011-07-06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
